분류 전체보기44 하기스 보송보송 기저귀 추천 / 하기스 기저귀 리뷰 (내돈내산) 하기스 보송보송 기저귀 추천 / 하기스 기저귀 리뷰 (내돈내산) 오늘은 하기스 기저귀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한다. 하기스 기저귀는 아기 기저귀의 대표 브랜드로 이미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초보 엄마, 아빠를 위해 지금 사용하고 있는 하기스 보송보송 밴드형에 대해 솔직한 리뷰를 남겨 보겠다. 지금 우리 아기는 태어난 지 약 70일정도 되었고, 몸무게는 6.5kg정도 된다. 아기 몸무게에 맞는 하기스 보송보송 2단계 소형(4~8kg)을 사용하고 있다. ◆ 하기스 기저귀의 장점 1. 하기스 보송보송 밴드형 기저귀는 매직밸트가 있어 아기의 허리에 맞게 늘리고 줄이면서 기저귀를 채울 수 있다. 2. 아기가 대변을 보았을 때도 뒤로 새는 것을 막아주는 뒷샘방지 포켓 허리밴드가 있어서 도움이 .. 2022. 12. 24. 강동구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환급 신청 방법 강동구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본인부담금 환급 신청 방법 오늘은 강동구에서 지원하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본인부담금 지원과 신청 방법에 대해 포스팅한다. 정부에서 산모들의 산후조리를 위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후도우미 비용을 지원해 주는데, 이에 더해 강동구에서는 자기 부담금의 90%를 추가로 지원하니 정말 혜택이 큰 복지라고 생각한다. 정부지원 산후도우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 ☞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방법 및 지원 금액 총정리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금액만 지원 받아도 큰 부담 없이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서 참 좋다고 생각했는데 강동구에서는 내가 내야 하는 금액의 90%까지 환급해 주니, 나는 실제로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받는데 5~6만원 정도 밖에 들지 않는 .. 2022. 12. 22. 일동 트루맘 뉴클래스 분유 추천 (내돈내산) / 조제유와 조제식의 차이 일동 트루맘 뉴클래스 분유 추천 (내돈내산) / 조제유와 조제식의 차이 오늘은 우리 넷째 아들이 먹고 있는 트루맘 뉴클래스 분유를 리뷰해 보려고 한다. 분유는 한번 고르면 잘 바꾸지 않기 때문에 분유를 고르는데 신중을 기하며 산후조리원에서부터 여러 분유를 찾아보고 비교해 보았다. 큰 아이들을 키울 때는 없었던 A2단백질 분유부터 큰 아이들을 키울 때는 몰랐던 조제유와 조제식의 다른 점까지 알게 되어 선택이 더 복잡했었다. 우리 아기에게 가장 좋은 것을 먹이면 당연히 좋겠지만, 경제적인 사정도 고려해야 하기에 항상 아기에게 최상급의 먹거리와 물품을 제공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또한, 이제까지 아이들을 키워 오면서 가장 좋고 가장 비싼 분유로 먹이지 않았지만, 그 차이를 모를 정도로 건강하게 잘 커왔기 때문.. 2022. 12. 22. 하기스 물티슈 추천 / 아기 물티슈 리뷰 (내돈내산) 하기스 물티슈 추천 / 아기 물티슈 리뷰 (내돈내산) 내가 넷째를 키우면서 선택한 하기스 물티슈에 대해 오늘 리뷰를 남겨 보려고 한다. 아기를 출산하고 아기 필수품인 물티슈를 구입하려고 검색했는데 너무 여러 종류의 물티슈가 검색되고, 한 브랜드 안에서도 무게와 매수에 따라 선택의 폭이 다양해서 선택하기 어려웠던 기억이 난다. 몇 개의 물티슈를 비교해 본 끝에 나는 하기스 물티슈 중 레드를 선택하였다. ◆ 하기스 아기 물티슈(레드)의 상품 정보 캡형 72매, 중량 373g, 평량 65gms 원단 사이즈 196*170mm ◆ 선택의 기준 1. 성분과 안전성 하기스 물티슈는 미생물 검사와 유해물질 분석 시험까지 완료하였고, 유한킴벌리에서 생산한 믿을만한 제품이다. 2. 중량 아기의 대소변을 화장실에 가서 물로.. 2022. 12. 21. 2023년 시작되는 부모급여 및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2023년 시작되는 부모급여 및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이번 포스팅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저출산 대책으로 내놓은 부모 급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현재 정부는 만 0세와 만 1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영아수당’이라는 이름으로 월 30만원을 지급하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월 50만원을 지급하고 있는데, 이를 ‘부모급여’라는 명칭으로 통합하고 가정 보육의 경우 지원금을 늘렸다. 1. 부모 급여 지급금 부모 급여는 2023년부터 신설되는 제도로서 영아 수당을 변경하면서 지급금을 늘린 제도이다. 2023년에는 만 0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월 70만원, 만 1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월 35만원을 지급하며, 2024년부터는 만 0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월 100만원, 만 1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2022. 12. 21. 강동구 마벨 산후조리원 솔직 후기 (내돈내산) 오늘은 내가 지금 3주째 머물고 있는 곳인 마벨 산후조리원에 대한 솔직한 후기를 올려보려고 한다. 보통 조리원에 2주 정도 지내거나, 첫째가 있는 경우 1주일만 있기도 하던데 넷째 엄마인 나는 마지막 산후조리를 잘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3주째 지내고 있다. 그런데도 이제 곧 집에 가야 하는 날이 다가오는게 아쉽다. 출산 준비를 하면서 내가 가장 먼저 했던 일이 산후조리원을 예약하는 것~! 마벨 산후조리원은 내가 5년 전 셋째를 낳고 왔었던 동그라미 산후조리원을 새로운 원장님께서 인수하셔서 마벨 산후조리원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된 곳이다. 셋째 때 산후조리했을 때도 만족스러웠기 때문에 이번에도 고민하지 않고 바로 이곳으로 예약했다. 1. 산모 방 사진과 같이 방은 혼자 지내기 적당한 크기이다. 아래 사진에.. 2022. 11. 1.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변경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변경 오늘은 2023년부터 적용되는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포스팅 한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정부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한다. 즉,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했을 때, 소득 규모 순서로 50번째 사람의 소득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한 각종 복지정책에서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2. 2023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윤석열 정부의 ‘저소득층에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한다’는 정책 기조에 따라 2022년 기준 중위소득보다 5.47% (4일 가구 기준) 증가한 금액으로 결.. 2022. 10. 31. 이전 1 2 3 4 5 6 7 다음